
빅데이터 기반 맞춤약료 연구실
Personalized Pharmaceutical Care
- 맞춤약료는 개별 환자의 특성(임상적, 유전적, 환경적 요소)에 맞는 약물요법 최적화 연구를 통해 가능합니다.
Big Data
- 우리 연구실에서는 공개 보건의료데이터 자료원과 여러 대학병원과의 협력을 통해 수집한 환자데이터를 사용하고 있습니다.
Analysis
- SPSS, SAS, R, Python 등 다양한 통계 프로그램을 다루고 있으며 인공지능, 머신러닝 등 활용범위를 넓히고 있습니다.
- 임상데이터와 유전체데이터로 다양한 분석을 통해 질병과 약물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.


Research projects
-
비만치료제로서의 GLP-1 수용체 작용제의 효능 및 안전성 연구 (한국연구재단 중견연구 창의연구형 2025-2028)
-
소비자 인식제고를 위한 화장품 안전사용 조사 연구 (식품의약품안전처 용역연구 2025)
-
약물 유해반응 관련 생체지표 탐색연구 - 소염진통제 등 (식품의약품안전처 용역연구 2023-2024)
-
JAK 억제제 치료반응 예측을 위한 AI기반 모델 개발 (충북바이오헬스산업 핵심기술개발 및 기업지원사업 2023-2024)
-
COVID-19 항바이러스제의 유효성 및 안전성 예측을 위한 AI기반 통합모델 개발 (충북바이오헬스산업 핵심기술개발 및 기업지원사업 2022-2023)
-
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에서 인공지능 기반의 약물반응성 예측 모델 개발 (국립대학육성사업연구과제 2021-2022)
-
인공지능 기반의 항응고제 부작용 예측 CDSS 개발 (충북바이오헬스산업 핵심기술개발 및 기업지원사업 2021-2022)
-
항응고제 부작용 예측을 위한 생체지표 발굴 및 통합적 모델 개발 (충북바이오헬스산업 핵심기술개발 및 기업지원사업 2021)
-
생물학적 항류마티스 약제의 반응성 예측을 위한 유전적 인자 발굴 및 통합적 모델 개발 (한국연구재단 기본연구 2020-2023)
-
시판 후 약물감시 국제조화를 위한 관리체계 개선 방안 마련 연구 (식품의약품안전처 용역연구 2020)
-
공중보건 위기대응 관련 감염병 방역물품 관리체계 마련 연구 (식품의약품안전처 용역연구 2020)
-
성별차이에 따른 의약품 부작용 안전정보 제공방안 마련 연구 (식품의약품안전처 용역연구 2019)
-
의약품 허가 후 변경관리를 위한 가이드라인 개발연구 (식품의약품안전처 용역연구 2018)
-
류마티스관절염 환자에서 항 TNF 제제의 약물반응 관련 마커 발굴 (한국연구재단 생애첫연구 2017-2020)
-
소아 약물 정보 Application 개발 연구 (산업통상자원부/충북산학융합본부 산학융합 R&D지원사업 2016-2017)
-
항암제 부작용에 대한 예방적 pegfilgrastim과 사후적 G-CSF 효과 비교 연구 (충북대학교 일반과제 2015-2016)
FUNDING SOURCE



